목록Programming/Project (3)
멍두의 개발새발

WHY서비스를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CICD가 절실해졌다 매번 직접 build하고 upload하고 기존 실행하던 process 종료하고 다시 실행시키고 제대로 실행됐는지 확인하고 오류나면 다시 코드짜고 다시 업로드하고 너무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github action을 이용해 자동 배포를 해보기로 했다💡 Goal 💡 : 개발 서버를 github action을 이용하여 자동배포 환경을 갖추어 불필요한 반복적인 행동을 줄이자WHAT1. 코드를 git의 develop branch에 push, pull request2. GitAction : bootjar build ▷ docker image build ▷ docker hub에 image push3. EC2 : docker hub에서 image pu..

WHY운영 전에는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지 않고 내 맘대로 해도 아무 문제가 없지만서비스를 배포한 뒤에는 기존 데이터베이스는 매우 소중하게 여겨야한다는 것을 알게됐다.데이터베이스는 우리 서비스의 핵심이니 가장 보수적으로 다뤄야한다. 그와중에 우리는 테스트 서버도 없는 상태 (그저 감자)테스트 서버를 배포하기 전 운영 데이터베이스와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자 WHATTEST DB 생성 ▷ TEST DB에 기존 DB 데이터 복사 ▷ 추가 설정 TEST DB 생성1. linux 서버 접속 (루트권한으로) 2. MySQL 접속mysql -u root -p 2. test DB 생성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3. test용 user 생성create user '유저이름'@'%' identifi..

📍 서론 git restore. 을 하다가 파일이 다 날라갔다commit하려다가 난 사단이라 commit도 없는 상황패닉이 와서 git으로 stash reflog 별 짓을 다해봐도 commit을 하지 않은 파일은 돌아오지 않았다... 이럴 땐 git말고 intelliJ를 사용하자 📍 본문1. 침착하게 intelliJ로 들어간다2. 복구해야하는 파일들이 있는 제일 최상단 디렉토리에 우클릭 한다.3. Local History를 누른다킹갓 인텔리제이는 모든 걸 다 저장하고 있다4.원하는 시점을 우클릭 한뒤 revert를 한다.5. 해당 시점으로 모든 파일이 복구된다 하늘이 무너졌지만 다시 돌아온 기념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글을 써본다 📍 요약인텔리제이 열기 -> 복구해야하는 디렉토리 우클릭 -> lo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