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7)
멍두의 개발새발

📍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5525 I + OI이 n번 반복되는 문자열의 수를 찾으면 된다이때 주의할 점은 IOI을 찾을 때 IOIOI 은 1개가 아니라 IOIOI IOIOI 해서 2개이다 📍 코드 설명처음에 나는 i 이면 매번 뒤에 검사를 시작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러면 안된다. 시간초과가 나지 않기 위해선 최대한 내가 센 ioi를 기억하고 다시 활용해야 한다그렇다고 막 dp문제처럼 풀어야하는건 아니고 그냥 내가 센걸 이용해야만 시간초과가 나지 않는다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1. i이면 검사를 시작2. oi이 몇번있는지 카운트3. 내가 원하는 개수만큼 잇다4. answer + 1 추가5. 만약 oi이 아니다 -> 다시 1번 부터 시작 이런 문자열 가지고 노는 문제에..

합격률내가 본 시험 회차에 실기 합격률은 대략 27% 정도였다.그래도 2020년 개정이후보다는 조금 높아진듯하다 점수 90점! 나름 고득점을 했다..딱히 의미는 없지만.. 공부 전 상태본인은 현재 컴퓨터공학과 4학년이다.5대 과목은 모두 수강한 상태이지만 완벽하게 기억하고 있지는 않은.. 상태프로그래밍은 자바, C언어는 잘 알고 파이썬은 잘 모르는 상태 공부 기간시험이 토요일이라 월~금 까지 공부했다.그래도 내가 손으로 써야하는 거라서 열심히 공부했다 공부 방법1. 책기본서 이런건 어차피 안볼 것 같아서 기출만 있는 책을 구매했고, 이 안에 있는 기출은 전부 다 풀었다따로 개념공부는 하지 않았고 프로그래밍 아닌 이론 문제들을 집중해서 풀고 모르는 개념은 다 손으로 써서 다시 암기했다. (프로그래밍은 약간..

WHY서비스를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CICD가 절실해졌다 매번 직접 build하고 upload하고 기존 실행하던 process 종료하고 다시 실행시키고 제대로 실행됐는지 확인하고 오류나면 다시 코드짜고 다시 업로드하고 너무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github action을 이용해 자동 배포를 해보기로 했다💡 Goal 💡 : 개발 서버를 github action을 이용하여 자동배포 환경을 갖추어 불필요한 반복적인 행동을 줄이자WHAT1. 코드를 git의 develop branch에 push, pull request2. GitAction : bootjar build ▷ docker image build ▷ docker hub에 image push3. EC2 : docker hub에서 image pu..

WHY운영 전에는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지 않고 내 맘대로 해도 아무 문제가 없지만서비스를 배포한 뒤에는 기존 데이터베이스는 매우 소중하게 여겨야한다는 것을 알게됐다.데이터베이스는 우리 서비스의 핵심이니 가장 보수적으로 다뤄야한다. 그와중에 우리는 테스트 서버도 없는 상태 (그저 감자)테스트 서버를 배포하기 전 운영 데이터베이스와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자 WHATTEST DB 생성 ▷ TEST DB에 기존 DB 데이터 복사 ▷ 추가 설정 TEST DB 생성1. linux 서버 접속 (루트권한으로) 2. MySQL 접속mysql -u root -p 2. test DB 생성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3. test용 user 생성create user '유저이름'@'%' identifi..

WHYjava와 spring을 이용하여 주로 개발하므로 intelliJ에 SSH를 연결해놓으면 편하게 개발할 수 있을 듯하여 기존에는 mobaXterm만 이용하여 배포를 했지만 intelliJ로 연결해보기로 했다. 근데 사용해본 결과 편의성 부분에서는 mobaXterm이 더 편하긴함..그래도 프로그램 하나에서 다 해결가능하다는 점에서 intelliJ도 나쁘지않다 WHATAWS의 EC2를 intelliJ에서 SSH로 접근하기 HOW(EC2배포는 했다고 가정)SSH 연결 1. Deployment → Browse Remote Host서버 네임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 2. Deployment 설정Type : SFTP 선택(아마도 기본으로 선택되어있음) FTP도 선택 가능하나 보안면에서 SFTP를 사용하는 것이 좋..

📍 서론 git restore. 을 하다가 파일이 다 날라갔다commit하려다가 난 사단이라 commit도 없는 상황패닉이 와서 git으로 stash reflog 별 짓을 다해봐도 commit을 하지 않은 파일은 돌아오지 않았다... 이럴 땐 git말고 intelliJ를 사용하자 📍 본문1. 침착하게 intelliJ로 들어간다2. 복구해야하는 파일들이 있는 제일 최상단 디렉토리에 우클릭 한다.3. Local History를 누른다킹갓 인텔리제이는 모든 걸 다 저장하고 있다4.원하는 시점을 우클릭 한뒤 revert를 한다.5. 해당 시점으로 모든 파일이 복구된다 하늘이 무너졌지만 다시 돌아온 기념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글을 써본다 📍 요약인텔리제이 열기 -> 복구해야하는 디렉토리 우클릭 -> local..